본문 바로가기
지식

2차전지, AI 수혜로 다시 전성기…삼전보다 더 오른 이유는?

by 척 2025. 10. 30.
반응형

최근 한 달 사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뛰어넘는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산업이 있습니다. 바로 '2차전지'입니다.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인공지능(AI) 투자 확산이 맞물리면서, 특정 종목들은 무려 10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지금 이 흐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중국 수출 규제까지 더해지며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까지 나왔습니다. 투자에 관심 있다면 이 글, 반드시 끝까지 읽어보세요!

 

 

 

 

 

2차전지株, 한 달 새 최고 100% 급등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등 대표적인 2차전지 기업들이 한 달 동안 각각 60% 이상 상승했습니다. 특히 엘앤에프는 101.6% 급등,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머티도 큰 폭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반도체 대장주 SK하이닉스(59.9%)를 능가하는 수준입니다.

 

ESS와 AI, 새로운 성장 엔진

 

ESS(에너지저장장치)는 AI 인프라 확대의 핵심입니다.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ESS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BNEF에 따르면 미국 ESS 누적 설치용량은 2035년까지 250GW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수출 규제, 한국에 반사 이익

 

중국은 다음 달부터 리튬이온 배터리와 관련 소재의 수출을 제한합니다. 이에 따라 북미·유럽 기업들이 한국 기업으로 거래선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ESS 시장의 87%를 점유하던 중국산 LFP 배터리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는 셈입니다.



미국 시장, 한국 배터리 점유율 확대 기회

 

고관세 정책으로 중국 ESS 비용이 2026년까지 58%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한국은 현지 양산 체제를 구축 중이며 무관세 혜택도 받고 있어 점유율 확대가 확실시됩니다.



 

EV 둔화와 2차전지 산업의 재편

 

전기차(EV) 시장은 다소 둔화된 반면, ESS 중심으로 새로운 수요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EV 둔화–ESS 부상’이라는 새로운 전환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단기 반등을 넘어 구조적인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차전지 주가 상승률 요약

 

아래 표는 주요 2차전지 종목들의 한 달간 주가 상승률입니다.

 

기업명 한 달 전 주가 현재 주가 상승률
엘앤에프 약 15만 4천원 약 31만원 101.6%
삼성SDI 약 20만 5천원 33만 1천원 60.7%
포스코퓨처엠 약 14만 5천원 23만 4천5백원 61.6%
LG에너지솔루션 약 35만 2천원 51만 4천원 46.2%
에코프로비엠 약 23만원 34만 2천원 48.7%



엘앤에프, 가장 큰 수혜주?

 

엘앤에프는 미국 주요 셀 고객의 ESS 전환 속도에 가장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실제 주가 상승률도 업계 최고이며, 단기·중기 모두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종목입니다.



Q&A



Q1. ESS란 무엇인가요?

A1. ESS는 에너지저장장치로, 전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AI, 데이터센터 등에서 필수적입니다.

 

Q2. 왜 중국 규제가 호재인가요?

A2. 중국 배터리의 수출 제한으로 인해 북미·유럽 기업들이 한국산 배터리로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3. 전기차 수요는 줄어드는데 2차전지는 왜 오르나요?

A3. ESS와 AI 시장이 새롭게 열리면서 전기차 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Q4. 지금 2차전지에 투자해도 늦지 않았을까요?

A4. 일부 종목은 단기 고점일 수 있지만, 구조적 변화 흐름을 본다면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매력적입니다.

 

Q5. 어떤 종목이 가장 유망한가요?

A5.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삼성SDI 등 ESS 생산라인이 있는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론 – 전환점에 선 2차전지, 지금 주목하라

 

전기차 시장이 주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차전지는 ESS라는 새로운 성장 축을 타고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AI 인프라 투자까지 더해지며 더 넓은 시장이 열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단기 반등을 쫓기보다는 구조적 변화에 투자할 시점입니다.

 

기회를 미리 감지하고 선점하는 자만이, 다음 슈퍼사이클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